TIL

25.02.20 TIL

gaon99 2025. 2. 20. 21:11

부트캠프 21일차

 

1. 오늘 학습 키워드

제작 마무리


2. 오늘 학습 한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정리하기

 

제작에서는 일단, NPC 한테 접근시에, 구조물 힌트를 줄 UI Text를 추가했고, ReadMe 작성 및

 

스코어 보드에 어제 연결하지 못했던, 최고 점수들을 연결해줬다.

 

폴더 정리를 해주며 작업을 마무리했다.

 

오늘 특강을 통해 벡터에 대해서 좀 많이 배웠는데

 

벡터값의 계산을 통해, Vector A - Vector B = B -> A 등 예전에 배웠지만 활용하지 못했던 정보를 많이 배웠다

 

그리고 Normalize 및 magnitude 에 대해서 배웠는데, 

 

에셋을 통한 스크립트에 Normalize와 maginitude를 이용해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있었는데,

이 부분을 이해를 못했는데

 

Normalize는 방향은 유지하나, 크기는 1로 설정?하고, magnitude는 정규화와 반대로 크기는 유지하나 방향은 지우는 그런 방법이다

 

이 방법을 이용해, wasd를 눌렀을 때, 방향과 이동속도를 곱하면, 이동을 제어 할 수 있고,

방향은 지우고 크기를 유지해서, 이 값이 0보다 클 경우 bool IsMoving을 이용해, 움직임에 따라 애니메이션을 변경할 수 있었다.

 

그 외에도 디렉토리, 생명주기에 대해서 배웠다

 

생명 주기는 Awake → OnEnable → Start → Fixed Update → Update → Late Update → OnDisable → OnDestory 순이다

 

해당 주기에 따라, 어떤 값을 넣으면 좋은지도 함께 알려주셨다.

 

Awake : 해당 스크립트가 시작될 때 가장 초기에 실행되고, 초기화 진행 및 본인 클래스 초기화

OnEnable : 게임 오브젝트가 활성화 될때 마다 실행된다

Start : 1회 실행되고, 스크립트를 가져오거나, 참조 관리를 할때 주로 사용한다

Fixed Update는 물리연산에 주로 사용되고

Update는 매 프레임마다 실행된다.

Late Update는 카메라 조작에 사용하면 좋다.

OnDisable은 오브젝트 비활성할때 실행되고

OnDestroy는 말 그대로 오브젝트가 파괴 될 때 실행된다고 보면된다.

 

그리고 MonoBehaviour라는 Unity 개발의 꽃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주시고 Document를 나중에 꼭 보라는 조언도 해주셨다.

이 클래스는 위에 말한 생명 주기나, 개발의 편리성 및 유니티의 관리 등을 관리하고있다.

 

추후에 문서를 보고 더 공부해서 작성하겠다.


3. 학습하며 겪었던 문제점 & 에러

 

오늘은 딱히 없습니다아


4. 내일 학습 할 것은 무엇인지

 

아마 새로운 팀 프로젝트가 시작이 될 텐데, 새로운 아이스 브레이킹과, 발제 이후 업무 분할 및 내 업무를 할 거같다.
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5.02.24 TIL  (0) 2025.02.24
25.02.21 TIL  (0) 2025.02.21
25.02.19 TIL  (0) 2025.02.19
25.02.18 TIL  (0) 2025.02.18
25.02.17 TIL  (0) 2025.02.17